인터넷/웹서핑

네트워크 연결검사 핑테스트

sungtg 2008. 2. 1. 13:58
반응형

PING 테스트는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점검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내부 네트워크 연결상태 확인, 외부로의 연결상태 확인, DNS의 IP 확인 등에 유용하게 쓰입니다.

실행 창에서 cmd.exe를 실행시키고
ping.exe를 직접 창에 입력을 합니다.

C:\>ping (확인할 컴퓨터의 IP주소나 URL 입력)

[로컬에 연결된 컴퓨터와 연결 상태 점검]
A 컴퓨터(IP : 192.168.0.1)와 B컴퓨터(IP : 192.168.0.2)의 네트워크로 연결상태 확인

A 컴퓨터에서 핑테스트 C:\>ping 192.168.0.2
B 컴퓨터에서 할 경우 C:\>ping 192.168.0.1
 

결과

네트워크 연결상에 이상이 없으면 Reply from 192.168.0.2 : bytes =32  times=15ms TTL=246
과 같은 형식의
메시지가 몇 줄 계속 나타나고,
네트워크에 이상(네트워크 환경설정이나 케이블 연결상태 이상 등)이 있어서 연결이 잘 안되면 Request Time Out
의 메시지가 나타남

[외부로의 연결상태 점검과 확인]
LAN환경의 사무실 등에서 갑자기 인터넷이 안될 경우
어느 부분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할 때 PING 테스트를 이용하면 유용합니다.

즉, 내 컴퓨터에서 인터넷이 연결되는 경로는
<사용자> → <서버 컴퓨터> → 라우터 → CSU/DSU → 한국통신 등의 경로로 연결되므로
내 컴퓨터에서 각 단계에 있는 컴퓨터(서버, 라우터, CSU/DSU, 한국통신의 IP)로 PING을 걸어 보면
어느 구간에서 이상이 있는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
윈도우의 system32 폴더에 tracert.exe파일을 보면 어느 라우터에서 중단이 되었는지
좀더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ing 검사를 알아보는 방법

사용자 삽입 이미지

 TTL값은 인터넷 상에서 여러 네트워크(라우터)를 거치게 되면서 하나씩 줄어듭니다
       (보통은 128값보다 적게 나올때 접속이 양호한 상태)
 TTL값이 너무 적으면 : 패킷을 잃어버려 접속이 끊기고
 TTL값이 너무 크면 : 서비스 관리자가 인터넷 트래픽을 나타냄
 bytes, TTL : 값은 일정하게 나올수록 양호
 Time : 작게 나올수록 접속 상태 양호
 (* 한 화면에 일정하게 위 메시지가 계속 출력된다면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한것이고,
    중간 중간 뚝뚝 끊겨서 화면에 출력된다면 네트워크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Packets : Sent = 7, Received = 7, Lost = 0 (0% loss),
    (7개 패킷을 보내, 다시 7개를 받았으니 정상이고, 당연히 잃어버린 데이터도 없을 것이고 양호한 상태다)
 
ctrl+c를 누르거나 'exit'를 쳐서 빠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