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svr32.exe 라는 놈이 있는데 이것은 프로그램 설치때 dll 파일에 대한 정보를 레지스트리 서버에 전송하는 역활을 합니다.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서버라는 소리를 많이 합니다. 그런데 알기로는 서버 클라이언트 라는 말은 인터넷에서나 사용하는 용어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그런데 윈도우 자체에 com+ 라는 기술이 들어가서 만들어 지기 시작한 98osr2 버전 부터는 윈도우 내부에서 프로그램을 주고 받고 dll 파일을 사용하고 복사나 잘라내기 붙여넣기 객체 삽입등의 모든 프로그램 운영이 서버 클라이언트사이에 전송방식을사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윈도우에서 프로그램들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을 하다 보면 자주 네트워크 용어가 많이 섞이게 됩니다.
메시지 전송, 사용자 권한등 이런 용어가 등장하는 에러를 윈도우 사용하다 보면 자주볼텐데 이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프로그램간의 주고 받는 내용이나 메시지(클릭,엔터등) 이런 것들이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용어가 에러 내용으로 보여지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